2024/05 9

경남 하동 청학봉, 선유동계곡산행기. -♣ 2024,05,26,日,雨 ♣-

- 선유동계곡에서 만난 하트모양 - 지리산 선유동계곡( 仙遊洞溪谷 )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에 있는 계곡이다. 선유동(仙遊洞)은 신선이 논다는 뜻으로 그만큼 아름답고 신비로운 계곡이라는 의미이다.지리산이 갖는 특성 가운데 하나는 신선설과 이상향에 대한 인간의 갈망이 곳곳에 배어 있다는 점이다. 지리산에서 유독 신선과 이상향의 전설이 많이 전해져 오는 골짜기는 단연 화개천 언저리이다. 특히 화개천의 선유동 계곡과 신흥마을이 그러하다. 신흥마을은 최치원(崔致遠)이 삼신동(三神洞)으로 이름을 지었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 산행일자 :  2024년 05월 26일,일,흐림.♣ 산행지역 : 경남 하동 청학봉,선유동계곡.♣ 산행코스 : 대성교-선유동계곡-지내능선갈림길-남부능선,삼신지맥-청학봉-쇠통바위-삼..

서울 북한산 의상능선(토끼바위),문수봉산행기. -♣ 2024,05,19,日,淸 ♣-

- 토끼바위 -  문수봉 (文殊峰)은 북한산 국립공원 의상능선에 있는 삼각산 보현봉 서쪽에 있는 봉우리로서, 아래에 문수사가 있다.   ♣ 산행일자 :  2024년 05월 19일,일 맑음.♣ 산행지역 : 서울 북한산 문수봉.♣ 산행코스 : 북한산산성제1P-의상능선-토끼바위-의상봉-가사당암문-용출봉-용혈봉-증취봉-부왕동암문-나월봉-나한봉-남장대-청수동암문-문수봉-대성문-북한산정-보국문-대동문-동장대-용암문-북한산대피소-산영루복원터-용학사-북한산정계곡-중성문-북한산산성제1P. ♣ 산행거리 : 12,19Km (이동거리)♣ 산행시간 : 7시간 48분 (이동,휴식,점심시간). - 서울 북한산 문수봉 GPS 산행 개념도 -

제주 제주시 성진이오름,테역장오리,물장오리,살손장오리,불칸디오리,어후오름. 2024,05,16,木,淸

- 살손장오리오름 -   테역장오리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에 있는 봉우리.이다. 이 오롬은 예로부터 장오리 오름[長兀岳]의 하나로 인식하였다. 굳이 세분할 때는 테역장오리 오름이라고 하였다. 테역은 떼·띠[草]를 이르는 제주어로, 이 오름 대부분이 테역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데서 붙인 것이다. 장오리의 뜻은 확실하지 않다. 물장오리오름(水長兀岳)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에 있는 기생화산의 하나이다. 분화구 내에는 점토질 바닥에 고인 빗물이 연중 마르지 않아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2010년 10월 28일 천연기념물 제517호로 지정되었다. 살손장오리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에 위치한 오름이다. 장오리라는 이름이 붙은 네 개[물장오리, 테역장오리, 불칸장오리 등]의 오름 가운데 하나..

섬여행 섬산행 2024.05.17

제주 서귀포시 솔오름(미악산),시오름,치유의숲 트레킹. -♣ 2024,05,14~15,水,淸 ♣-

- 한라산을 배경으로 솔오름 전망대에서 바라본 모습 -  솔오름은 토평동 산 16번지 일대에 있다. 동홍과 토평의 경계지역이기도 하며, 높이는 113m로 낮은 편이다. 솔오름의 솔은 ᄊᆞᆯ(쌀)을 이르는 옛말 가운데 하나로, 이 때문에 한자로는 米岳山(미악산)으로 쓴다. 과거 솔오름에서 여러 목장을 운영하면서 벌레 방제와 덤불 제거를 하기 위해 인공적인 산불이 자주 났으나, 지금은 관리를 통해 우거진 산림이 조성됐다. 그 덕에 산행 또는 운동 코스로 더욱 많이 알려진 곳이다.   ♣ 산행일자 :  2024년 05월 14일,水, 맑음.♣ 산행지역 : 제주 서귀포시 솔오름(미악산),시오름.♣ 산행코스: 솔오름입구P-솔오름-남성대제1대피소-시오름-서귀포 치유의숲♣ 산행거리 : 15,05Km (이동거리)♣ 산행..

섬여행 섬산행 2024.05.17

전북 진안 천반산(647m)산행. -♣ 2024,05,12,日,흐림 ♣-

- 죽도 병풍바위 -  천반산( 天盤山 )은 전라북도 장수군의 천천면 연평리에 위치한 산이며, 높이는 647m이다.  천천면 연평리, 진안군 상전면, 동향면 등에 걸쳐 있는 산으로 무주군 안성면에서 발원하는 양천이 감입곡류하면서 만든 죽도(竹島)를 잘 조망할 수 있다. 향토지에 의하면, 성터를 비롯해서 장군바위, 마당바위, 뜀바위, 깃대봉, 시험바위와 대섬 등 정여립(鄭汝立, 1546~1589)에 얽힌 이야기들이 있다.  ♣ 산행일자 :  2024년 05월 12일,日, 흐림.♣ 산행지역 : 전북 진안 천반산.♣ 산행코스: 섬계마을P-섬계산장-천반산-말바위-천반성터-뜀바위-송탄서굴-죽도폭포-장전마을버스정류장.♣ 산행거리 : 8,35Km (이동거리)♣ 산행시간 : 3시간 56분 (이동,휴식,점심시간). - ..

전남 고흥 두방산,병풍산,첨산산행기. -♣ 2024,05,11,土,흐림 ♣-

- 약수터굴에서 -  ▣ 두방산(斗傍山·489m)​두방산은 전남 고흥군 동강면 대강리, 마동리, 한천리에 걸쳐있는 산으로 말의 명당자리가 있어 말봉산으로도 불리우며 병풍산과 첨산, 그리고 봉두산과 더불어 동강면의 4대 명산(名山)으로 꼽힌다. 산은 흙산(肉山)의 형태를 띠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능선은 암릉으로 이루어져 기암괴석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고, 거기에다 주변의 조망까지 보너스로 즐기는 호사를 누릴 수 있다.또한 두방산과 병풍산, 비조암, 첨산을 지나면서 아기자기한 암릉길이 산행의 묘미를 더 해주고간간이 이어지는 숲길과 바윗길 따라 막힘없는 조망이 가슴을 확 트이게 한다비조암 정상은 20~30여 명이 족히 앉을 수 있는 넓은 암릉이며 날아가는 새의 모양처럼 날렵하게 생겼다고 해서 붙혀진 지명으로 ..

울산 울주 문수산(600m)산행 & 대왕암공원 트레킹. -♣ 2024,05,05,日,雨 ♣-

- 대왕암공원에 있는 대왕암의 빛 포토존 -   문수산(文殊山)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율리(栗里)와 범서읍 천상리(川上里) 경계에 있은 산으로 해발 고도는 599.8m이다. 동쪽으로 영취산(해발 340m)과 남쪽으로 남암산(해발 543m)을 접하면서 이곳에서 태화강(太和江)과 회야강(回夜江)의 지류가 발원하고 있다 울주 문수사 석조아미타여래좌상(蔚州 文殊寺 石造阿彌陀如來坐像)은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다. 2006년 12월 28일 울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었다.   ♣ 산행일자 :  2024년 05월 05일,日, 雨.♣ 산행지역 : 울산 울주 문수산.♣ 산행코스: 영해마을-망해사--울주망해사지승탑(보물제173호)-영취산-목계단-문수봉-남암지맥-깔딱고개-헬기장..

경남 산청 황매산 철쭉산행기. -♣ 2024,05,02,木,淸 ♣-

- 작년보다는 못하지만 철쭉 이쁘요 -   1983년 군립 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고, 이제는 가야산과 함께 합천을 대표하는 명산이 되었다. 태백산맥의 마지막 준봉인 황매산은 고려 시대 호국선사 무학대사가 수도를 행한 장소라고 전해진다. 해발 1,113m에 이르며 준령마다 굽이쳐 뻗어나 있는 빼어난 기암괴석과 그 사이에 고고하게 휘어져 나온 소나무와 철쭉이 병풍처럼 수놓고 있어, 영남의 금강산이라고 불리는 아름다운 산이다. 산 정상에 오르면 합천호와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 등이 모두 보인다. 합천호는 가깝다 못해 잔잔한 물결의 흐름까지 느껴질 정도다. 합천호의 푸른 물속에 비친 황매산의 세 봉우리가 매화꽃 같다 하여 수중매라고도 불린다. 이른 아침이면 합천호의 물안개와 섞인 산 안개의 장관을..

경남 합천 황매산 철쭉산행기. -♣ 2024,05,01,水,雨 ♣-

- 철쭉군락지에서 바라본 정상주차장의 모습 -  황매산(黃梅山)은 경상남도 합천군과 산청군의 경계에 있는 높이 1,113m의 산이다. 기야산은 (1,430m)r과 함께 합천으로 대표하는 명산이다. 1983년 11월 18일에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산행일자 :  2024년 05월 01일,水, 雨.♣ 산행지역 : 경남 합천 황매산.♣ 산행코스: 정상주차장-황매평전-철쭉제단-황매형전전망대-황매산-삼봉-중봉-상봉-정상주차장.♣ 산행거리 : 6,45Km (이동거리)♣ 산행시간 : 2시간 13분 (이동,휴식시간). -경남 합천 황매산 GPS 산행 개념도 -